비바이의 미야지마 늪에서 일제히 쇠기러기 날아올라 하늘을 뒤덮어

일본 내에서도 유명한 철새의 중계지이자 람사르 협약 등록 습지인 미야지마 늪(홋카이도 중부 비바이시)에 일본 천연기념물인 쇠기러기 떼가 무리를 지어 도래하고 있다. 먹이를 찾아 잠자는 곳인 늪에서 일제히 날아오르는 순간의 장면을 사진에 담고자 사진 애호가들이 새벽부터 카메라를 들고 대기하고 있다.
10월 5일은 아직 어둑어둑한 새벽 5시경부터 참억새가 바람에 흔들리는 늪 주변에 약 40명이 숨죽여 지켜보고 있었다. ‘꽉꽉’거리는 울음소리의 합창이 갑자기 커진 직후, 낮은 날개 소리가 사방에 울려 퍼지며 쇠기러기의 떼가 새벽하늘을 뒤덮듯 날아올랐다.
쇠기러기는 번식지인 시베리아에서 월동지인 미야기현 등으로 향하는 약 4,000km의 여정 도중 미야지마 늪에 들른다. 낮에는 주변의 논에 떨어져 있는 씨앗 등을 쪼아 먹고 저녁에 늪으로 돌아간다.
미야지마 늪 물새 습지 센터에 따르면 10월 3일 현재 약 4만 7천 마리가 이곳에 머물고 있으며, 예년 기준으로는 10월 초 중순경 남쪽으로의 여행을 서서히 시작한다고 한다.
Location
Miyajima Marsh
Related
불곰의 서식 개체수는 어떤 방법으로 조사하는지 알고 계십니까? 5월 중순에 라쿠노가쿠엔 대학의 사토 요시카즈 교수(야생동물 생태학) 연구실이 오랫동안 실시하고 있는 삿포로 시내의 불곰 개체수 조사에 동행하며, 곰의 습성을 이용하고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불곰 퇴치 스프레이, 굉음 구슬… 대책 상품의 효과를 검증
June 23홋카이도는 등산로 개방 시기를 맞아 하이킹과 산나물을 채집하기 위해 산에 들어가는 사람들도 많아졌습니다. 그러한 가운데 올 시즌은 불곰 대책 상품에 대한 주목도가 특히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 효과는 어느 정도 있을까요? 사용법과 사용 후의 처리 방법을 전문가에게 물어보았습니다.
기리탓푸곶에서 태어난 9번째 해달
June 14멸종 위기종인 해달의 번식지인 홋카이도 동부 구시로 지역의 기리탓푸곶(도후쓰곶) 연안에서 5월 11일에 9번째의 해달 새끼가 태어나 무럭무럭 자라고 있다. 새끼는 어미의 배 위에서 자거나 젖을 먹고 있다. 갓 태어난 새끼의 절반 이상이 목숨을 잃는 험난한 대자연 속에서 새로운 해달의 삶 이야기가 시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