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연재】카무이 대지의 요정들(23) 백송고리 ~여간해선 보기 힘든 북방에서 서식하는 맹금류

2016년 겨울 촬영하고 싶은 새가 있었다. 백송고리이다.
같은 해 홋카이도 신칸센이 영업을 시작하고 차량의 심벌 마크로 백송고리가 사용되었다. “타이밍 좋게 신문 지면에 싣고 싶다.”라고 생각하여 홋카이도 전 지역의 사진작가 친구들에게 정보 제공을 요청했다. 북극권에서 번식해 홋카이도 내에 드물게 날아오는 맹금류로, 사진 촬영에 성공한 것은 과거 한 번 밖에 없었다.
그것은 2014년 2월 홋카이도 남부 모리 정(町)의 해안에서 만난 어린 백송고리로, 몸은 갈색이고, 몸길이는 60cm 정도였다. 처음 발견했을 때는 솔개로 보였었다. 날개의 모양과 쭉 뻗은 꼬리가 아름다웠고, 깃털로 뒤덮인 다리는 북극권에 서식하는 맹금류에 어울리는 자태였다.
아쉽게도 그 이후 백송고리를 볼 기회가 없어, 2016년 신칸센 영업 시작 때에도 신문 지면에 게재할 수 없었다. 언젠가는 다 자란 성조의 하얀 모습을 사진에 남기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다.
Location
Mori Town
Related
불곰의 서식 개체수는 어떤 방법으로 조사하는지 알고 계십니까? 5월 중순에 라쿠노가쿠엔 대학의 사토 요시카즈 교수(야생동물 생태학) 연구실이 오랫동안 실시하고 있는 삿포로 시내의 불곰 개체수 조사에 동행하며, 곰의 습성을 이용하고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불곰 퇴치 스프레이, 굉음 구슬… 대책 상품의 효과를 검증
June 23홋카이도는 등산로 개방 시기를 맞아 하이킹과 산나물을 채집하기 위해 산에 들어가는 사람들도 많아졌습니다. 그러한 가운데 올 시즌은 불곰 대책 상품에 대한 주목도가 특히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 효과는 어느 정도 있을까요? 사용법과 사용 후의 처리 방법을 전문가에게 물어보았습니다.
기리탓푸곶에서 태어난 9번째 해달
June 14멸종 위기종인 해달의 번식지인 홋카이도 동부 구시로 지역의 기리탓푸곶(도후쓰곶) 연안에서 5월 11일에 9번째의 해달 새끼가 태어나 무럭무럭 자라고 있다. 새끼는 어미의 배 위에서 자거나 젖을 먹고 있다. 갓 태어난 새끼의 절반 이상이 목숨을 잃는 험난한 대자연 속에서 새로운 해달의 삶 이야기가 시작되었다.